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증여세 안녕하세요. 친가족중에 부모님이 주식으로 5천만원 조금 안 되게 증여를 해주셨는데

안녕하세요. 친가족중에 부모님이 주식으로 5천만원 조금 안 되게 증여를 해주셨는데 2 3 주 정도 지나서 수익이나서 현재 5천을 넘은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는 증여세 내야하나요? 아직 매도는 안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의 상황, 정말 잘 이해됩니다. 가족 간의 주식 증여는 흔히 있는 일이지만, 세금 문제는 헷갈리기 쉬워요. 특히 주가가 올라서 금액이 변하면 더더욱 그렇죠. 아래에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증여세는 '증여 시점의 가치'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즉, 부모님이 주식을 증여하신 그날의 종가 기준으로 평가된 금액이 증여재산가액이 되며, 그 기준으로 증여세를 계산하게 됩니다.

주식이 오른 시점이 아니라, '증여를 받은 시점'의 금액이 기준이에요.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보면

  1. 증여 시점의 주식 평가액이 5천만 원 미만이었고,

  2. 부모님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3. 10년간 5천만 원까지는 증여세가 비과세입니다. (성인 자녀 기준)

따라서,

✅ 증여받은 시점에 5천만 원이 안 됐다면, 증여세는 안 내셔도 됩니다.

❗추가로 주의할 점

  • 지금은 매도를 안 하셨다고 하셨죠?

  • 매도하게 되면,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 이슈는 따로 없지만,

  • 혹시나 증여받은 뒤 일정 기간 내에 되팔게 되면,

  • 그 수익이 ‘사전증여 효과’로 과세 이슈가 생길 수도 있어요. (주로 고액인 경우)

하지만 질문자님의 금액은 크지 않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다만, 주식을 증여받은 날과 그 주식의 종가 기준으로 금액이 정확히 얼마였는지를 꼭 확인해 보세요. 그게 핵심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나 관련 세금 사례는 아래 블로그에서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