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상황 잘 이해했어요~
군 복무 때문에 실업급여 자격이 유지되는지 헷갈리실 수 있죠 ㅎㅎ
──────────────────────────────
■ 실업급여 기본 조건
1) 퇴사 전 **18개월 내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2) 비자발적 퇴사(군 입대도 인정)
3) 퇴사 후 12개월 이내 구직활동 시작해야 함
──────────────────────────────
■ 군 복무로 인한 수급기간 연장
- 고용보험법 제65조에 따르면, **군 복무(현역, 사회복무요원 등)** 는 “구직활동 불가능 사유”로 인정돼요.
- 이 경우 **수급기간이 군 복무 기간만큼 자동으로 연장**됩니다. (최대 4년까지)
- 즉, 군 입대 때문에 못 받은 실업급여는 전역 후 이어서 신청할 수 있는 거예요.
──────────────────────────────
■ 질문자님의 경우
- 2023년 11월 퇴사 → 군 입대(2024년 3월) → 전역(2024년 9월)
- 군 복무 기간 동안은 구직활동 불가 → **그 기간만큼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연장**
- 전역 후 바로 구직활동(포스코 인턴 지원)도 하셨으니 조건 충족
→ 따라서 **실업급여 신청 가능합니다.**
──────────────────────────────
■ 준비해야 할 서류
- 퇴사 당시 이직확인서(회사 제출, 고용보험에 전송됨)
- 제대증명서(또는 전역증)
- 신분증, 통장사본
- 구직등록 (워크넷)
- 고용센터 방문 예약 후 상담
──────────────────────────────
■ 개인적인 조언
군 복무로 인한 공백은 100% 법적으로 인정되는 부분이라, 걱정 안 하셔도 돼요 ^^
다만 고용센터에서 **“군 복무로 연기된 수급기간”** 확인 절차가 필요하니, 전역증 꼭 챙겨가시길 추천드립니다.
──────────────────────────────
정리하자면,
→ 네, 군대 다녀오셨더라도 실업급여 신청 **가능합니다!**
→ 전역 직후라면 지금 바로 고용센터 가셔도 문제 없어요~
(꼭 잘 준비하셔서 안정적으로 수급 받으시길 응원합니다! ⸜( •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