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수학 문제 드립니다 그래프 그리는 방식 말고 g(f(x)) = k 해서 답을 구하려고

그래프 그리는 방식 말고 g(f(x)) = k 해서 답을 구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f(x)를 X 라고 치환해 g(X)=k 의 교점을 알파, 베타 라고 뒀을 때 일단 k는 g(x) 의 꼭짓점인 9보다 크거나 같으면 안되고 교점을 알파 베타 라고 뒀으니 X=알파, X= 베타 인 거죠 즉 f(x)= 알파, f(x)= 베타죠??? 그래서 f(x) 그래프에 알파랑 베타를 그리게 되면 알파랑 베타는 0보다 커야 되잖아요? 같거나 작으면 서로 다른 교점이 4개가 생겨야 하는데 2개만 생기거나 0개가 생기니까요 그래서 알파랑 베타가 일단 0보다 커야 되니까 g(X)=k 그래프에서도 알파 베타가 0보다 커야 돼서 k가 5보다 커야 된다고 정답이 나옵니다 제가 물어보고 싶은 점은 교점이면 (x,y) 이런 식으로 나와야 하지 않나요? 여기서는 g(X)=k 에서는 알파 베타가 x 좌표로 되고 f(x)= 알파, f(x)= 베타 에서 알파, 베타 좌표는 y 좌표로 사용 되었잖아요 왜 그런 건가요? 똑같이 x좌표 x좌표도 아니고 뭐죵..?

g(x) = k는 0이상의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져야 합니다. 5<k<9

6+7+8 = 21로 문제는 간단히 언급만 하고....

질문사항으로 가면

함수란 뭐가 들어가면 뭐가 나오느냐에 대한 것입니다.

통상 들어가는 것을 x로 나오는 것을 y로 둡니다.

합성함수는 이 상자 여럿 (통상 2개)을 연달아 둔 것입니다.

어떤 값을 f에 넣어서 나온 것을 바로 또 g라는 상자에 넣어서 나온 것을 보는 것입니다.

y = f(x)의 그래프가 있을 수 있고 (v자 모양 꺾인 모양)

y = g(x)의 그래프가 있을 수 있고 (위로볼록 이차함수)

y = g(f(x))의 그래프가 있을 수 있습니다.(저 사진에 메모된 묘한 그래프)

합성함수의 관점에서 보면 f상자에 x가 들어가서 y가 나왔는데 그것이 바로 g로 들어가면

g입장에서는 x인 것입니다.

다만 x,y는 편의상 저렇게 통일하는 것이지 들어가고 나오는 것이 저렇게 x,y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면 가운데 있는 것을 t라고 해 봅시다.

그러면 x로 들어가서 f를 거쳐 t로 나와서 t가 g로 들어가면 y로 나오는 것입니다.

식으로는 t = f(x), y = g(t)인 관계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대입하니 y = g(f(x))라는 합성함수 식이 됩니다.

이와 같이 합성함수는 가운데 결과를 x,y가 아닌 다른 문자로 두는 것이 편합니다.